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restful
- @async
- 스프링
- autowired
- Spring
- REST API
- 라이브커머스
- api설계
- AWS
- 미디어서버
- API
- JPA
- 이커머스
- async
- 서버구축
- cmi
- Gradle
- wooza
- SpringBoot
- 이커머스 api
- 스트리밍서버
- 자바
- db 스키마
- mariaDB
- RDB
- 인턴생활
- DB 설계
- 네이버
- 실검
- 멀티쓰레드
- Today
- Total
목록Web (14)
Polymor!
*RESTful API에 대한 기본 이론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Rest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그 규칙들을 좀 체계적으로 공부해보고싶은데 영어 원서에 대한 부담이 없다면 , 책살돈이 없다면(?), 아래 pdf를 제본해서 보길 추천한다. 번역본들은 거의 다 사야되는데.. Mark Masse 저자의 'REST API Design Rulebook' 이 교재는 꽤 유명해서 서치하면 잘 나오는데 책말고 pdf도 있으니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면 된다. github.com/indrabasak/Books/blob/master/REST%20API%20Design%20Rulebook.pdf indrabasak/Books CS Books. Contribute to indrabasak/Books development by c..
ORM : Object-Relational Mapping DB 와 객체의 매핑 , 그 패러다임 불일치를 해결은 서버 개발자의 몫이다. 기본적으로 관계형DB는 '상속'의 관계가 없다. 또한 Foreign Key로 관계 맺은 테이블과 Join하기때문에 양방향을 갖는다. 무결성 참조도 매우 큰 고려 사항이 될 것이며 고윳값을 갖어야한다. 기본적으로 관계형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하고 물론!! JPA의 활약을 기대해보지만 역시나 넘어야할 산이 높다. ^^ 앞으로 계속 얘기를 해나가겠지만, 의외로 어려웠던 점들 몇개만 이야기를 해보면, Product - Category 다대다 관계 + Category의 자기 참조 Account - DefaultAddress 기본배송지 관리하기 Review 계층 관계 효율적..
이커머스를 만들다. 어쩌면 웹을 관심갖고 있는 개발자에게 첫번째 도전과제가 아닐까싶다. 사실은, 이커머스를 만들고싶었던 것은 아니다. 나는 영상에 관심이 많고 전통적인 사진과 텍스트 데이터들은 머지않은 미래엔 영상의 프레임으로 그 흐름이 바뀔 것으로 전망하기 때문에. 아마존, 쿠팡, 마켓컬리, 네이버쇼핑, 11번가, 하다못해 당근마켓.. 모두 여러장의 사진들과 글로서 시장이란 플랫폼이 활성화 되있는게 현재 이커머스의 패러다임이다. 그러다 틱톡을 알게되었고, 소셜 앱은 거의 사용하지않는 나는 엄청난 락인효과를 경험했고 짧은 영상 1분에 담긴 메세지들의 강력함을 느꼈다. 아, 그럼 영상 기반의 이커머스 플랫폼을 구축하면, 기존의 넘치는 이커머스들과 차별점을 두면서 유저들에게 재미의 요소까지 줄 수 있겠구나 ..
스트리밍 서버를 떠올리면 대표적으로 여러 플랫폼이있다, Wowza Engine , AWS , Azure 등 AWS도 관심이많지만 와우자도 많이 쓰이고 예전부터 많이 듣던거라.. 와우자로 구축하기로 결정 스트리밍 기법엔 크게 Live와 VoD(video on demand) 방식이 있다. 쉽게 이해하면 실시간 아프리카 티비랑 넷플릭스, 두개의 차이를 생각하면 이해가 된다. Live 는 빠르고 정확한 인코딩이 필요할 거고.. VoD는 방대한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로 AWS + WOWZA ENGINE 으로 데이터베이스와 스트리밍 서버 분리된 모델도 지원한다고 나와있다.) Wowza Cloud 는 말그대로 돈내면 모든걸 다 관리해주는 (CDN까지..wow) 소프트웨어 완제품같고, Wowza Engi..
비동기, 동기, 블록, 넌블록.. 이런 이야기들을 한번쯤은 들어보았을텐데. 결론적으로만 말하면 이 개념들과 여러 조합들의 방식이 나온 것은 , I/O 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나온 개념들이다. Read() , Write() 등과 같은 저 수준 시스템 콜을 하고 난 후 커널로 부터 응답을 받을 때까지 기다리지않고 제어권을 넘기는 넌 블록, Select()처럼 이벤트 기반으로 메세지를 날리는 걸 구현하기 위해 비동기의 방식이 나온 것이다. 이 배경을 이해한다면, 보편적으로 알고 있던 상황과는 다른 관점에서 이 개념들을 이해하기 수월하다. 비동기란, 어떤 일련의 작업(예를들면 호출된 함수) 의 결과, 작업 종료(return) 등에 내 작업의 시작이 전혀 영향을 받지않을 때를 의미한다. Select 방식이 ..
중국의 ByteDance 사의 소셜 미디어 앱으로 유저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 엄청난 Lock-in 효과로 화제가 된 Tiktok. 앱 다운로드 수 15억을 넘으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을 뛰어넘은 틱톡.. 도대체 뭐길래? 틱톡- Douyin, 'Vibrating Sound'라는 의미를 가진 이 앱이 가진 특별한 점은 무료로 다양한 음원을 지원한다는 점이다. 거기에 더불어 1분이내의 영상을 업로드하여 라이브 혹은 VoD 방식으로 전 세계 유저들과 공유할 수있다. 스트리밍 기반의 미디어 앱, Tiktok 은 어떤 기술스택을 가지고 있는 앱일까? (reddit 의 한 기술자의 잘 정리된 페이지 일부를 공유했다.) Tech Stack Behind TikTok Like App Real-Time Analytic..